주요 국가의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 |
---|---|
미국 (98기)정책 : 직접처분
소내/소외 독립저장시설 운영(건식) |
영국(15기)정책 : 재처리
재처리 시설 및 Wylfa 원전(건식) 내에서 중간저장 |
프랑스(58기)정책 : 재처리
|
스웨덴(8기)정책 : 직접처분
중앙집중 중간저장시설(CLAB) 운영 중 |
핀란드(4기)정책 : 직접처분 (지하 500m)
습식저장시설 운영(원전부지 내 독립시설) |
일 본(42기)정책 : 재처리
소외 중간저장시설 운영 예정(무츠시) |
스위스(5기)정책 : 미정(‘20년까지 최종정책 결정예정) 소외 중간저장시설 운영(ZWILAG) |
독 일(7기)정책 : 직접처분('05.7월 프랑스/영국 위탁 재처리 중단) 소외 중간저장시설 운영(Ahaus, Gorleben, Greifswald 등) |
벨기에(7기)정책 : 미정(‘01년, 프랑스 위탁 재처리 중단)
|
캐나다(19기)정책 : 직접처분(지하 500~1,000m, 재활용 가능옵션 포함) 소내 건식저장시설 운영 |
스페인(7기)정책 : 직접처분 소내/소외 건식저장 병행 |
러시아(36기)정책 : 재처리/직접처분(원자로형별 상이) 재처리시설내 중간저장시설 운영(중간저장시설 별도 확보 추진 중) |
※ 자료 : IAEA PRIS(Power Reactor Information System) , ‘19.2월 기준
구분 | 시설명 |
---|---|
집중식 | 일본 무츠 중간저장시설(예정) |
스웨덴 CLAB 중간저장시설 | |
독일 Ahaus 중간저장시설 | |
독일 Goreleben 중간저장시설 | |
분산식 | 미국 Vermont Yankee 원전 내 저장시설 등 |
캐나다 Point Lepreau 원전 내 저장시설 등 | |
독일 Obrigheim 원전 내 저장시설 등 |
구분 | 시설명 | 모암 | 깊이(m) |
---|---|---|---|
연구용1) | 스위스(Mont Terri) | 퇴적암 | ~300m |
스위스(Grimsel) | 화강암 | 450m | |
미국(G-Tunnel) | 응회암 | 300m | |
캐나다(Whiteshell) | 화강암 | 240 ~ 420m | |
일본(Mizunami) | 화강암 | 1,000m | |
일본(Horonobe) | 퇴적암 | 500m | |
스웨덴(Aspo) | 화강암 | 200 ~ 460m | |
인허가용2) | 핀란드(Onkalo) | 화강암 | 500m |
프랑스(Meuse/Haute Marne) | 퇴적암 | 450 ~ 500m |
1) 연구용은 기반암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처분개념 연구 및 실증시험 등이 주목적
2) 인허가용은 향후 同부지에 처분을 고려하여 해당부지의 특성자료 수집이 주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