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게시물
SPECIAL THEME
방사선 이야기 1
다음 게시물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연간 6mSv 이내 권고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태양 또는 우주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은 지구로 들어온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우주방사선(Cosmic Ray) 노출량이 많아지며 비행기를 탈 때 우주방사선에 노출된다.
우리나라는 우주방사선 노출 가능성이 높은 항공승무원에 대해 2021년 5월 24일부터 안전기준을 강화했다.
우주에서 발생해 지구에 도달하는
우주방사선
우주방사선이란 우주에서 생성되어 지구로 향하는 방사선을 말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연평균 자연방사선 피폭선량은 3.075mSv(밀리시버트)로, 이 중 우주방사선에 의한 연간 피폭방사선량은 0.255mSv이다.
대기층에 의해 지구에 도달하는 우주방사선 양이 줄어들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노출량은 많아진다. 특히 미국 뉴욕이나 캐나다 토론토 등 북극 항공로를 이용하는 비행기에 탑승하는 경우, 우주방사선 노출량은 상대적으로 많다.

인천공항으로부터
노선별 평균 노출선량

일본

6.2 μSv

중국

7.9 μSv

동남아시아

15.2 μSv

호주

19.0 μSv

중앙아시아

35.6 μSv

유럽

41.6 μSv

북미

60.6 μSv

출처_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우리나라의 방사선 환경’(2009년)
항공승무원
피폭방사선량 안전기준 정해 관리
우주방사선에 노출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은 항공기 조종사와 객실승무원 같은 항공승무원들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항공승무원의 피폭방사선량 안전기준을 연간 50mSv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5년간 100mSv 이하로 정해 관리해 왔다. 국토교통부가 2020년 9월 23일 배포한 ‘항공승무원 방사선 피폭선량은 기준치 이내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라는 보도설명자료에 따르면, 2019년 국내 10개 항공사(전체 2만 2,828명)의 전체 연간 평균 피폭량은 2.21mSv(기준한도 대비 4.4% 수준)로 나타나, 안전기준 내로 관리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2021년 5월 24일부터
연간 6mSv 이내로 안전기준 강화
이와 함께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규정(고시)」 개정을 통해 2021년 5월 24일부터 더 깐깐한 기준을 적용해 관리하고 있다.
항공승무원의 피폭방사선량 안전기준은 연간 6mSv로 낮췄고, 개인별 피폭방사선량 자료 보관기관은 기존 5년에서 항공승무원 퇴직 후 30년(또는 75세)까지로 연장했다.
무엇보다 임신한 승무원의 안전기준은 임신 인지부터 출산까지 2mSv에서 1mSv로 낮춰 관리 중이다.
새로운 안전관리 규정에 따라 항공사는 매월 항공승무원의 피폭방사선량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피폭방사선량이 안전기준인 연간 6mSv(임신한 경우에는 1mSv)에 근접할 경우, 운항노선을 변경하거나 탑승횟수를 조정하는 등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와 함께 개인별 피폭방사선량 자료 보관기관이 늘어났기 때문에 질병 원인을 규명하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규정
구분 기존 2021년 5월 24일~
피폭방사선량
안전기준
승무원 연간 50mSv, 5년간 100mSv 연간 6mSv
임신 승무원 임신 인지부터 출산까지 2mSv 임신 인지부터 출산까지 1mSv
보관기간 5년 승무원 75세 또는 마지막 운항일로부터
30년이 도달된 때 중 늦은 시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안전기준 수립·관리 감독 수행
현재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업무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맡고 있다. 그동안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항공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기준을 수립하고, 국토교통부가 국제 항공운송사업자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등 이원화되어 있었다.
2021년 1월 15일 열린 제9회 원자력안전정책협의회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일원화하기로 하는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항공승무원의 건강검진과 교육 등 건강보호 체계도 구축한다.
2014년 구성한 원자력안전정책협의회는 원자력·방사선 안전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다부처 협의회로,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의장을 맡고, 외교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식약처 등 관계부처 국장급 공무원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